AWS 퀵사이트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시각화 도구로써 데이터셋을 설정해주면 간단히 데이터를 통해서 차트나 그래프 형태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할 수 있다. 또한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대화형 대시보드를 생성하여 게시할 수도 있다
실습을 위해 첨부한 데이터셋을 다운받는다
(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다)
좌측 [분석] 메뉴에 들어와서 [새 분석]을 클릭한다
[새 데이터 세트]를 클릭한다
[파일 업로드]를 클릭하고 앞서 받은 데이터셋을 선택한다
업로드한 데이터셋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
업로드한 데이터셋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[분석 생성]을 클릭한다
좌측에 [시각화] 메뉴를 클릭하면 [필드 목록]에 수치형 데이터와 범주형 데이터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
도로 종류별 사상자 수를 확인하고 싶다면 "도로 종류"와 "사상자수"를 각각 클릭하면 오른쪽 차트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(다른 필드를 클릭하고 싶다면 기존에 클릭한 필드를 한 번 더 클릭해서 해제해준다음 다른 필드를 클릭한다)
주어진 데이터 필드외에도 직접 데이터 필드를 만들어서 분석할 수도 있다
상단의 [추가] 메뉴를 클릭하고 드롭다운 메뉴에서 [계산된 필드 추가]를 선택한다
[사망률]이라는 필드를 추가하고 싶다면 우선 연필모양을 클릭해서 필드명을 설정한 다음 우측 필드 검색에서 "사망자수"를 더블 클릭하여 좌측에 {사망자수}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. 그런다음 나누기를 뜻하는 "/"를 직접입력하고 다시 필드검색에서 "사상자수"를 더블클릭해서 "{사망자수} / {사상자수}"라는 식을 완성한다(필드 더블클릭 대신 직접 입력도 가능하다)
설정을 완료하면 우측 상단에 있는 [저장]을 클릭한다
필드목록에 "사망률" 필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
필터 메뉴를 사용하여 원하는 조건의 데이터만 볼 수 있다
도로형태 중 교차로 내에서 일어난 교통사고의 사망률만 보도록 설정해보자
좌측 [필터] 메뉴를 클릭하고 "하나 생성..."을 선택한다
원하는 범주형 필드를 하나 선택한다
추가한 "도로형태" 필드를 클릭하면 아래에 다양한 선택 메뉴들이 나온다
"모두 선택"을 클릭해서 전체 선택을 해제한 다음 "교차로 내"를 선택하고 [적용]을 누른다
교차로 내에서의 사망률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
분석한 자료들을 공유하거나 다운로드하려면 우측 상단에 [대시보드 게시] 메뉴를 클릭해서 대시보드에 게시한다
대시보드 이름(first-analysis)을 설정한다
좌측에 [대시보드] 메뉴에 오면 방금 게시한 대시보드(first-analysis)를 확인할 수 있다
대시보드를 클릭한다
우측 "점 세게"를 클릭하고 "CSV로 내보내기"를 선택하면 로컬에 대시보드를 저장할 수 있다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stion Host에서 웹 서버에 접속하기 (0) | 2021.03.04 |
---|---|
EC2에 탄력적IP 연결 (0) | 2021.03.02 |
ECS 컨테이너 구축 (0) | 2021.02.22 |
웹 브라우저에서 S3 버킷에 이미지 업로드 (0) | 2021.02.20 |
AWS Lambda를 이용한 API 서비스 배포 (0) | 2021.02.19 |